화상의 표준 치료인 피부 이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동아시아지역에서는 한약과 침 등의 전통의학 치료가 많이 활용되고 있었는데 침 치료가 피부재생을 촉진시키는 기전에 대한 실험 연구가 이루어졌고 [Lee JA, Jeong HJ, Park HJ, Jeon SH, Hong SU. Acupuncture accelerates wound healing in burn-injured mice. Burns. 2011;37:117–25.],
화상 후 최대한 빠른 침 치료의 개입이 치유 과정과 최종 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색소침착 흉터 등 여러 징후에 긍정적이라는 임상 근거도 존재한다.
[Loskotova A, Loskotova J. The use of acupuncture in first aid of burns—Clinical report. Burns. 2017;43:1782–91.]
또한 최근 화상 치료에 fibroblast–myofibroblast 활동 조절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침이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Langevin HM, Churchill DL, Cipolla MJ. Mechanical signaling through connective tissue: a mechanism for the therapeutic effect of acupuncture. The FASEB Journal. 2001;15:2275–82 / Evers LH, Bhavsar D, Mailänder P. The biology of burn injury. Experimental Dermatology. 2010;19:777–83.]
그러므로 침 치료를 활용한 화상 치료가 점차 임상에서 확대되는 것은 화상환자들을 위해 좋은 치료 옵션이 늘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함께 화상에 약초를 이용한 치료가 서양 의학에서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칼슘 이온 농도는 상처 치유 과정에서 세포 내 및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Ebrahimpour N, Mehrabani M, Iranpour M, Kordestani Z, Mehrabani M, Nematollahi MH, et al. The efficacy of a traditional medicine preparation on second-degree burn wounds in rats. J Ethnopharmacol. 2020;252:112570]
연고의 제형을 통해 그 역할을 기대한다. 기존의 SSD가 아닌 한약재로 구성된 Moist Exposed Burn Ointment(MEBO)를 통한 드레싱이 의사들에 의해 처방되어
화상 치료 및 통증 관리에 좋은 효과를 보여주고, [Ang E, Lee S-T, Gan CS-G, Chan Y-H, Cheung Y-B, Machin D. Pain control in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comparing moist exposed burn ointment and conventional methods in patients with partial-thickness burns. J Burn Care Rehabil. 2003;24:289–96.] 만족도도 피부 이식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Shin JC, Seo CH, Jang KU, Jung KY. Scar Quality and Hand Function after Moist Exposed Burn Ointment and Skin Graft Treatment in Full Thickness Hand Burn. Ann Rehabil Med. 2007;31:582–9.]
치료 과정은 구축된 손가락을 펴서 부목 등으로 고정하고 특수침(도침)을 이용해서 손가락의 구축된 피부가 찢겨져서 여유 공간이 확보되면 연고를 부착하여 이 피부를 재유합 시키는 과정이며, 부목고정 등 세심한 치료가 필요하여 2-3주간 입원치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부 95퍼센트 이상 대부분 회복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10-20퍼센트 당김, 갈퀴살, 경화조직은 환부 상태에 따라 남습니다.
다만, 아이의 성장에 따라서 재차 구부러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2개월에 한 번씩 내원하여 관찰합니다.